OSI 7 계층(OSI 7 Layer)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개로 나눈 것을 말한다. 1계층부터 순서대로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으로 나뉘어있다.
최종 사용자가 쓰는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통신 회선으로 전송할 때 Layer 7 → Layer 1으로 이동하는데 각 Layer의 정보를 담은 헤더를 함께 보낸다. 이를 캡슐화라고 한다.
반대로 Layer 1 → Layer 7로 갈 때는 헤더를 제거하는데 이를 디캡슐화라고 한다.
물리 계층은 통신선 등을 이용해서 전기 신호(0, 1)를 전달하는 계층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MAC주소를 사용해 물리적인 연결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계층이다.
단위는 프레임(Frame)을 사용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달, 중계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가장 빠른 경로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단위는 패킷(Packet)을 사용한다.
전송 계층에서는 Port를 통해 통신하며 오류 확인이나 복구, 흐름제어 역할을 한다. TCP, UDP 프로토콜이 해당 계층에 속한다. 단위는 세그먼트(Segment)를 사용한다.
세션 계층은 두 지점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표현 계층은 이름 그대로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결정한다. 데이터 압축이나 복호화/암호화를 한다.
응용 계층은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쓰는 프로그램이 응용 계층에 들어간다.
TCP/IP 4 계층(TCP/IP 4 Layer)은 OSI 7 계층을 실제 사용하는 모형으로 다시 분류한 것이다.
TCP/IP처럼 여러 프로토콜을 묶은 것을 Protocol Stack(또는 Protocol Suite)이라고 한다.
L5, L6, L7을 합쳐서 L4 응용 계층(Layer 4, Application Layer)으로 묶으며
L1, L2을 합쳐서 L1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Layer 1, Network Access Layer)으로 묶는다.
나머지 L3, L4는 기존 계층과 동일하다.